나를 기록하다
article thumbnail
반응형

# 입력 받기
c = input()

# 아스키 코드 값 출력
print(ord(c))

1)

먼저 input() 함수를 사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알파벳 소문자, 대문자, 숫자 0-9 중 하나를 입력 받습니다. 이를 변수 c에 저장합니다.

다음으로, ord() 함수를 사용하여 c의 아스키 코드 값을 계산합니다. ord() 함수는 문자의 아스키 코드 값을 반환합니다. 마지막으로, print() 함수를 사용하여 c의 아스키 코드 값을 출력합니다.

예를 들어, "A"라는 문자를 입력 받았다면, 해당 문자의 아스키 코드 값인 65가 출력됩니다.

코드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입력 받은 문자열을 아스키 코드 값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입니다.

2)

# 입력 받기
c = input()

# 아스키 코드 값 출력
print(ord(c[0]))

위 코드는 입력 받은 문자열의 첫 번째 글자만을 선택하여 해당 문자의 아스키 코드 값을 계산합니다. 문자열의 첫 번째 글자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c[0]과 같이 인덱스를 사용하여 문자열에서 첫 번째 글자를 가져옵니다.

ord() 함수 대신 인덱스를 사용하여 문자의 아스키 코드 값을 구하기 때문에 코드가 더 짧아지고 더 간결해집니다.

두 코드의 출력 결과는 동일합니다.

3)

# 입력 받기
c = input()

# 아스키 코드 값 출력
print(chr(c))

위 코드는 입력 받은 문자열을 문자로 처리하고, chr() 함수를 사용하여 해당 문자의 아스키 코드 값을 계산합니다. chr() 함수는 주어진 숫자에 해당하는 문자를 반환합니다. 여기서는 문자열을 정수로 처리하여 함수에 전달하면 해당 문자의 아스키 코드 값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ord() 함수를 사용하는 방법과 달리, 문자열을 처리하는 데 ord() 함수보다 더 직관적입니다. 단, c는 문자열이 아닌, 해당 문자의 아스키 코드 값을 나타내는 정수여야 합니다.

예를 들어, "A"라는 문자를 입력 받았다면, 해당 문자의 아스키 코드 값인 65가 출력됩니다.

반응형
profile

나를 기록하다

@prao

포스팅이 좋았다면 "좋아요❤️" 또는 "구독👍🏻" 해주세요!

profile on loading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