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기록하다
article thumbnail
[모두의 네트워크] 8장. 네트워크의 전체 흐름 살펴보기
Network/모두의 네트워크 2023. 11. 27. 20:00

네트워크의 구성 웹 사이트에 접속할 때 그림과 같은 OSI 모델 상위 응용 계층부터 하위 물리 계층까지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살펴보자. 다음 그림은 컴퓨터, 스위치, 라우터, 웹 서버로 구성된 네트워크이다. 이 구성은 몇 개의 네트워크로 나누어져 있을까? 192.168.1.0/24, 172.16.0.0/16, 192.168.10.0/24로 총 3개이다. 옆의 그림은 전체 모습을 OSI 모델로 나타낸 것이다. 컴퓨터의 데이터가 전기 신호로 변환되는 과정 OSI 모델의 전체적인 관점으로 데이터가 전달되고 처리되는 과정을 살펴보자. 구체적으로 컴퓨터의 웹 브라우저에 URL을 입력할 때부터 웹 서버에 도착할 때까지 이루어지는 OSI 모델의 캡슐화와 역캡슐화를 살펴보자. 컴퓨터 → 응용 계층으로 전달(캡슐화..

article thumbnail
[모두의 네트워크] 7장. 응용 계층
Network/모두의 네트워크 2023. 11. 22. 20:00

응용 계층의 역할 우리가 웹 페이지를 볼 때는 크롬과 같은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고, 메일을 보내고 받을 대는 Gmail 같은 메일 프로그램을 사용한다. 이렇게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서비스를 요청하는 측(사용자 측)에서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분류할 수 있다. 서비스: 네트워크나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기능이나 동작, 정보 등 일반적으로 서비스를 요청하는 측을 클라이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측을 서버라고 한다. 웹 브라우저나 메일 프로그램은 사용자 측에서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이니 클라이언트가 된다. 반면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측인 서버에는 웹 서버 프로그램과 메일 서버 프로그램 등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응용 계층에서 동작한다...

article thumbnail
[모두의 네트워크] 6장. 전송 계층
Network/모두의 네트워크 2023. 11. 21. 20:00

전송 계층의 역할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하려면 라우터가 필요하고 라우터의 라우팅 기능을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물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의 3계층이 있으면 목적지에 데이터를 보낼 수 있다. 하지만 데이터가 손상되거나 유실되더라도 이들 계층에서는 아무것도 해주지 않는다. 이를 방지해주는 역할을 이번에 소개할 전송 계층에서 수행한다. 전송 계층의 두 가지 역할 오류를 점검하는 기능 오류가 발생하면 데이터를 재전송하도록 요청 전송된 데이터의 목적지가 어떤 애플리케이션인지 식별하는 기능 예를 들어, 홈페이지에서 사용하는 데이터인데 메일 프로그램에 전송하는 것을 방지해준다. 연결형 통신과 비연결형 통신 전송 계층의 특징을 간단히 설명하면 신뢰성/정확성과 효율성으로 구분할..

article thumbnail
[모두의 네트워크] 5장. 네트워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의 역할 1. 네트워크 간의 연결 구조 데이터링크 계층 이더넷 규칙 기반 데이터 전송 같은 네트워크에 있는 컴퓨터끼리만 가능 → 인터넷이나 다른 네트워크에 있는 목적지로 데이터 전달 시 네트워크 계층의 기술 필요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역할을 네트워크 계층에서 함. 네트워크 계층에서는 다른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라우터(Router)가 필요함. 라우터 데이터의 목적지가 정해지면 해당 목적지까지 어떤 경로로 가는 것이 좋은지 알려주는 역할 데이터를 보내려는 목적지가 모르면 라우터도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알려주지 못함.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는(랜) MAC 주소만으로 통신이 가능했지만 다른 네트워크에는 데이터 전송 불가 네트워크를 식별할 수 있는 다른 주소가 필요 → IP ..

article thumbnail
[모두의 네트워크] 4장. 데이터 링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의 역할과 이더넷 1. 이더넷이란? 데이터 링크 계층 네트워크 장비 간에 신호를 주고받는 규칙을 정하는 계층 랜에서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주고 받기 위해 필요한 계층 데이터 링크에서 정한 규칙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규칙이 이더넷(Ethernet) 이더넷이란? 이더넷은 랜에서 적용되는 규칙이다. 또한 허브와 같은 장비에 연결된 컴퓨터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사용한다. 허브를 같이 사용하는 랜 환경에선 특정한 컴퓨터 한 대에 데이터를 보내려 해도 다른 모든 컴퓨터에 전기 신호가 전달된다.(더미 허브) 이런 경우를 위해 데이터의 내용을 못 보게 하는 확실한 규칙이 정해져 있다. 규칙에 따라 보내려는 데이터에 목적지 정보를 추가해서 보내고 목적지 이외의 컴퓨터는 데이터를 받더라도 무시하게 되어..

article thumbnail
[모두의 네트워크] 3장. 물리 계층

물리계층의 역할과 랜 카드의 구조 전기 신호란? 0과 1만으로 이루어진 비트열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려면 물리 계층의 기술이 필요하다. 데이터 송신 측 컴퓨터가 전송하는 0과 1의 비트열 데이터는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 측 컴퓨터에 도착. 수신 측 컴퓨터에서는 전기 신호를 0과 1의 비트열 데이터로 복원 랜 카드란? 컴퓨터는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랜 카드가 메인 보드에 포함되어 있는 내장형 랜 카드나 별도의 랜 카드를 가지고 있음. 0과 1의 정보가 컴퓨터 내부에 있는 랜 카드로 전송되고 랜 카드는 0과 1을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랜 카드가 있기에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물리 계층은 컴퓨터와 네트워크 장비를 연결하고 컴퓨터와 네트워크 장비 간..

profile on loading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