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프림 알고리즘
프림 알고리즘이란?
하나의 정점에서 연결된 간선들 중에 하나씩 선택하면서 MST를 만들어 가는 방식
- 임의의 정점을 선택하여 시작
- 어짜피 모두 연결되므로 임의의 정점을 선택해도 된다
- 그러므로 첫 정점(0번 또는 1번)을 고른다
- 선택한 정점과 인접하는 정점들 중의 최소 비용의 간선이 존재하는 정점을 선택
- 모든 정점이 선택될 때까지 2번 과정을 반복
서로소인 2개의 집합 정보를 유지
- 트리 정점: MST를 만들기 위해 선택된 정점들
- 비트리 정점들: 선택되지 않은 정점들
프림 알고리즘 의사코드
MST-PRIM(G, r)
FOR u in G.V
u.key ← ∞
u.p ← NULL
r.key ← 0
Q ← G.V
WHILE Q != 0
Q ← Extract-MIN(Q)
FOR v in G.Adj[u]
IF v
프림 알고리즘 실습
다익스트라(Dijkstra) 알고리즘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이란?
- 시작 정점에서 거리가 최소인 정점을 선택해 나가면서 최단 경로를 구하는 방식
- 탐욕 알고리즘 중 하나이고, 프림 알고리즘과 유사
- 정점 A에서 정점 B까지의 최단 경로(A → X + X → B)
동작 과정
- 시작 정점 입력
- 거리 저장 배열을 ∞로 초기화
- 시작점에서 갈 수 있는 곳의 값 갱신
- 아직 방문하지 않은 점들이 가지고 있는 거리 값과 현재 정점에서 방문하지 않은 정점까지의 가중치의 합이 작다면 갱신
- 모든 정점을 방문할 때까지 반복
순환 과정 예시
12
34 순서로 읽으면 된다.
크루스칼 / 프림 / 다익스트라 비교
- 대표적인 그리디(greedy) 문제
- 크루스칼, 프림 : 최소 신장 트리(MST)를 만듦
- 다익스트라, 벨만포드 : 최단거리를 구함
크루스칼 vs 프림, 다익스트라 vs 벨만 포드
그래프에서의 최소 비용 문제
- 모든 정점을 연결하는 간선들의 가중치의 합이 최소가 되는 트리 찾기
- 두 정점 사이의 최소 비용의 경로 찾기
스패닝 트리
- n 개의 정점으로 이뤄진 무향 그래프에서 n개의 정점과 n-1개의 간선으로 이뤄진 트리를 신장 트리라고 함
- 다른 말로 원래 그래프의 정점 전부와 간선의 부분 집합으로 구성된 부분 그래프
- 이때 스패닝 트리에 포함된 간선들은 정점들을 트리 형태로 전부 연결해야 함
- 이런 특징이 존재하기에 스패닝 트리는 유일하지 않고 여러 개가 존재함
- 가중치 그래프 여러 개의 스패닝 트리 중 가장 가중치의 합이 작은 트리를 찾는 것이 문제
최소 스패닝 트리(MST)
- 그래프에서 만날 수 있는 최소 비용 문제 중 모든 정점을 연결하는 간선들의 가중치의 합이 최소가 되는 트리
크루스칼 알고리즘
- 그래프의 모든 간선을 가중치의 오름차순으로 정렬
- 스패닝 트리에 하나씩 추가(간선들이 사이클을 이루지 않게 해야함)
즉, 사이클이 생기는 간선을 제외한 간선 중 가중치가 가장 작은 간선들을 트리에 추가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Arrays;
import java.util.Comparator;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크루스칼 {
static class Edge implements Comparable<Edge> {
int start, end, weight;
public Edge(int start,int end, int weight){
this.start = start;
this.end = end;
this.weight = weight;
}
@Override
public int compareTo(Edge o){
return Integer.compare(this.weight,o.weight);
}
}
static int V;
static int E;
static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atic StringTokenizer st;
static Edge[] edgeList;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
V = Integer.parseInt(st.nextToken());
E = Integer.parseInt(st.nextToken());
edgeList = new Edge[E];
for(int i = 0;i<E;i++){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
int start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end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weight = Integer.parseInt(st.nextToken());
edgeList[i] = new Edge(start,end,weight);
}
Arrays.sort(edgeList);//오름차순
make();// 모든 정점을 각각 집합으로 만들고 출발한다.
//간선 하나씩 시도하며 트리를 만든다.
int cnt = 0,result = 0;
for(Edge edge : edgeList){
if(merge(edge.start,edge.end)){
result += edge.weight;
if(++cnt == V-1) break;// 신장트리 완성.
}
}
System.out.println(result);
}
static int[] parents;
static void make(){
parents = new int[V];
for(int i = 0;i<V;i++){
parents[i] = i;
}
}
//u가 속한 트리의 루트 번호를 반환한다.
static int find(int u){
if(u == parents[u]) return u;
//return find(parent[u]); --- 기울어진 트리의 경우 비효율적
//최적화(Path Compression)
return parents[u] = find(parents[u]);
}
//u가 속한 트리와 v가 속한 트리를 합친다..
static boolean merge(int u, int v){
u = find(u);
v = find(v);
//u와 v가 이미 같은 트리에 속하는 경우는 걸러낸다.
if(u ==v) return false;
parents[u] = v;
return true;
}
}
프림 알고리즘
- 다익스트라 알고리즘과 거의 같은 형태를 띠고 있음
- 크루스칼 알고리즘이 이곳 저곳에서 산발적으로 만들어진 트리의 조각들을 합쳐서 스패닝 트리를 만든다면, 프림 알고리즘은 하나의 시작점으로 구성된 트리에 간선을 하나씩 추가하는 방식으로 진행됨
- 따라서 항상 선택된 간선들은 중간 과정에서도 연결된 트리를 만듦
- 선택할 수 있는 간선들 중 가중치가 가장 작은 간선을 선택하는 과정을 반복
- 파란색 선: 이번 단계에서 고려할 간선
- 하늘색 선: 파란색 선 중 선택된 간선
- 초록색 선: 이미 선택된 간선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Prim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int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int[][] adjMatrix = new int[N][N];
boolean[] visited = new boolean[N];
int[] minEdge = new int[N];
for(int i = 0;i<N;i++){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
for(int j = 0;j<N;j++){
adjMatrix[i][j] = Integer.parseInt(st.nextToken());
}
minEdge[i] = Integer.MAX_VALUE;
}
int result = 0;//최소 신장 트리 비용
minEdge[0] = 0;//임의의 시작점 0의 간선 비용을 0으로 세팅 index는 아무거나 상관없다.
for(int i = 0;i<N;i++){
// 1. 신장 트리에 포함되지않은 정점 중 최소간선비용의 정점 찾기
int min = Integer.MAX_VALUE;
int minVertex = -1;//최소간선비용의 정점번호
for(int j = 0;j<N;j++){
if(!visited[j] && min>minEdge[j]){
min = minEdge[j];
minVertex = j;
}
}
visited[minVertex] = true;//신장트리에 포함시킴.
result += min;//간선비용 누적.
//2. 선택된 정점 기준으로 신장트리에 연결되지않은 타 정점과의 간선 비용 최소로 업데이트
for (int j = 0; j < N; j++) {
//인접 안해있으면 인풋이 0이므로 걔가 최소가 되어버림.
if(!visited[j] && adjMatrix[minVertex][j]!=0 && minEdge[j] > adjMatrix[minVertex][j]){
minEdge[j] = adjMatrix[minVertex][j];
}
}
}
System.out.println(result);
}
}
크루스칼 vs 프림
크루스칼 : 간선 위주 / 프림 : 정점 위주
이미 만들어진 트리에 인접한 간선을 고려하는지의 여부를 제외하면 완전히 똑같은 알고리즘
최단 경로 알고리즘
- 하나의 시작 정점에서 끝 정점까지의 최단 경로 구하기
- 다익스트라 알고리즘 : 음의 가중치 허용 x(그리디 적용 가능)
- 벨만-포드 알고리즘 : 음의 가중치 허용
- 모든 정점들에 대한 최단 경로
- 플루이드-워셜 알고리즘
다익스트라
- 한 시작 정점이 주어졌을 때 그 정점에서 다른 정점으로의 최단 경로를 구하는 알고리즘
//init
S = {v0}; distance[v0] = 0;
for (w 가 V - S에 속한다면)//V-S는 전체 정점에서 이미 방문한 정점을 뺀 차집합.
if ((v0, w)가 E에 속한다면) distance[w] = cost(v0,w);
else distance[w] = inf;
//algorithm
S = {v0};
while V–S != empty {
//아래의 코드는 지금까지 최단 경로가 구해지지않은 정점 중 가장 가까운 거리를 반복한다는 의미
u = min{distance[w], w 는 V-S의 원소};//---1
S = S U {u};
V–S = (V–S)–{u};
for(vertex w : V–S)
distance[w] = min{distance[w],distance[u]+cost(u,w)}//update distance[w];---2
}
다익스트라 알고리즘 로직(우선순위 큐)
- 첫 번째 정점을 기준으로 연결되어있는 정점들을 추가해가면서 최단 거리를 갱신
- 꺼낸 노드는 다음의 과정을 반복합니다.
- 첫 정점을 기준으로 배열을 선언핸 첫 정점에서 각 정점까지의 거리를 저장
- 초기에는 첫 정점의 거리를 0, 나머지는 무한대(inf)로 저장
- 우선순위 큐에 순서쌍 (첫 정점, 거리 0) 만 먼저 넣음
- 우선순위 큐에서 노드를 꺼냄
- 처음에는 첫 정점만 저장된 상태이기때문에 첫번째 정점만 꺼내짐
- 첫 정점에 인접한 노드들 각각에 대해 첫 정점에서 각 노드로 가는 거리와 현재 배열에 저장된 첫 정점에서 각 정점까지의 거리를 비교합
- 배열에 저장되어 있는 거리보다, 첫 정점에서 해당 노드로 가는 거리가 더 짧은 경우, 배열에 해당 노드의 거리를 업데이트
- 배열에 해당 노드의 거리가 업데이트된 경우, 우선순위 큐에 해당 노드를 넣음
- 2번의 과정을 우선순위 큐에서 꺼낼 노드가 없을 때까지 반복
- 첫 정점을 기준으로 배열을 선언핸 첫 정점에서 각 정점까지의 거리를 저장
다익스트라 구현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BufferedWrit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io.OutputStreamWriter;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Arrays;
import java.util.List;
import java.util.PriorityQueue;
public class BOJ_1753 {
// INF 값 초기화
static final int INF = 9999999;
// 그래프를 표현 할 2차원 List
static List<List<Node>> graph = new ArrayList<>();
// 최단거리테이블을 표현 할 배열
static int[] result;
// 방문처리를 위한 배열이지만 저는 다른 방법으로 방문처리를 진행하겠습니다.
// static boolean[] vistied;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BufferedWriter bw = new BufferedWriter(new OutputStreamWriter(System.out));
String[] info = br.readLine().split(" ");
int startIndex = Integer.parseInt(br.readLine());
// 그래프 생성
for (int i = 0; i < Integer.parseInt(info[0])+1; i++) {
graph.add(new ArrayList<>());
}
// 최단거리테이블 생성
result = new int[Integer.parseInt(info[0])+1];
// 최단거리테이블 INF로 초기화
Arrays.fill(result, INF);
// 방문처리를 위한 배열 생성 (저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 vistied = new boolean[Integer.parseInt(info[0])+1];
// 문제에서 주어진 입력 값에 따라 그래프 초기화
for (int i = 0; i < Integer.parseInt(info[1]); i++) {
String[] temp = br.readLine().split(" ");
graph.get(Integer.parseInt(temp[0])).add(new Node(Integer.parseInt(temp[1]), Integer.parseInt(temp[2])));
}
// 문제에서 주어진 입력값을 바탕으로 다익스트라 알고리즘 수행
dijkstra(startIndex);
// 문제에서 제시한 조건에 맞게 출력
for (int i = 1; i < result.length; i++) {
if(result[i] == INF) {
bw.write("INF");
bw.newLine();
}else {
bw.write(String.valueOf(result[i]));
bw.newLine();
}
}
bw.flush();
}
// 다익스트라 알고리즘
static void dijkstra(int index) {
// 최단거리가 갱신 된 노드들을 담을 우선순위 큐 생성
PriorityQueue<Node> pq = new PriorityQueue<>();
// 최단거리테이블의 시작지점노드 값 0으로 갱신
result[index] = 0;
// 우선순위 큐에 시작노드 넣기
pq.offer(new Node(index, 0));
// 우선순위 큐에 노드가 존재하면 계속 반복
while(!pq.isEmpty()) {
// 큐에서 노드 꺼내기
Node node = pq.poll();
// 꺼낸 노드의 인덱스 및 최단거리 비용 확인
int nodeIndex = node.index;
int distance = node.distacne;
// 앞에서 주석처리했던 방문처리 배열을 사용해서 아래와 같이 방문처리하셔도 됩니다.
// if(vistied[nodeIndex]) {
// continue;
// }else{
// vistied[nodeIndex] = true;
// }
// 큐에서 꺼낸 거리와 최단거리테이블의 값을 비교해서 방문처리를 합니다.
// 큐는 최단거리를 기준으로 오름차순 정렬되고 있습니다.
// 만약 현재 꺼낸 노드의 거리가 최단거리테이블의 값보다 크다면 해당 노드는 이전에 방문된 노드입니다.
// 그러므로 해당노드와 연결 된 노드를 탐색하지 않고 큐에서 다음 노드를 꺼냅니다.
if(distance > result[nodeIndex]) {
continue;
}
// 큐에서 꺼낸 노드에서 이동 가능 한 노드들을 탐색합니다.
for (Node linkedNode : graph.get(nodeIndex)) {
// 해당노드를 거쳐서 다음 노드로 이동 할 떄의 값이 다음 이동노드의 최단거리테이블 값보다 작을 때
if(distance + linkedNode.distacne < result[linkedNode.index]) {
// if문의 조건을 만족했다면 최단거리테이블의 값을 갱신합니다.
result[linkedNode.index] = distance + linkedNode.distacne;
// 갱신 된 노드를 우선순위 큐에 넣어줍니다.
pq.offer(new Node(linkedNode.index, result[linkedNode.index]));
}
}
}
}
// 우선순위 큐에서 정렬기준을 잡기위해 Comparable를 구현합니다.
static class Node implements Comparable<Node>{
int index; // 노드 번호
int distacne; // 이동 할 노드까지의 거리
Node(int index, int distacne) {
this.index = index;
this.distacne = distacne;
}
// 최단거리를 기준으로 오름차순 정렬합니다.
@Override
public int compareTo(Node o) {
return Integer.compare(this.distacne, o.distacne);
}
}
}
반응형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54/240408] MyBatis (0) | 2024.04.09 |
---|---|
[TIL-53/240401] 위상 정렬 (0) | 2024.04.01 |
[TIL-51/240327] 그래프 비용(서로소 집합, MST, 크루스칼) (1) | 2024.03.28 |
[TIL-50/240322] JDBC (0) | 2024.03.23 |
[TIL-49/240321] Join & SubQuery & Modeling (0) | 2024.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