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교착 상태의 개요
교착 상태의 정의
교착 상태(deadlock)
2개 이상의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경우, 다른 작업이 끝나기만 기다리며 작업을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하는 상태
교착 상태(deadlock) vs 아사 현상(starvation)
아사 현상 : 잘못된 정책으로 특정 프로세스의 작업이 지연되는 문제
교착 상태 : 여러 프로세스가 작업을 진행하다 보니 발생하는 자연적인 현상
컴퓨터 시스템에서 교착 상태는 시스템 자원을 사용하거나 잠금을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다.
시스템 자원
- 교착 상태는 다른 프로세스와 공유할 수 없는 자원을 사용할 때 발생
잠금
- 교착 상태는 잠금을 사용할 때 발생
- 예시 코드 - 무한 대기를 막지 못해 교착 상태가 발생한 경우
- p1이 lock1을 true로 만든 다음 p2가 lock2를 true로 만들었다고 가정
- 이후 p1은 while(lock2==true)가 실행되어 무한 반복
- p2도 while(lock1==true)가 실행되어 무한 반복
- 이 경우 p1, p2 모두 임계구역에 들어가지 못하는 교착 상태 발생
이처럼 한 변수를 할당받은 상태에서 다른 변수를 기다리면 교착 상태가 발생
응용 프로그램
- 데이터베이스 같은 응용 프로그램에서도 교착 상태 발생
- 여러 프로세스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할 때는 일관성을 유지해야 함
-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잠금을 사용하는데 이때 교착 상태 발생할 수 있음
자원 할당 그래프
- 자원 할당 그래프(resource allocation graph)는 프로세스가 어떤 자원을 사용 중이고 어떤 자원을 기다리고 있는지를 방향성이 있는 그래프(directional graph)로 표현한 것
- 어떤 프로세스에 자원이 할당되어 있고 어떤 프로세스가 자원을 기다리고 있는지를 한눈에 파악 가능
자원 할당 그래프 표현 방식
원 : 프로세스
사각형 : 자원
자원에서 프로세스로 향하는 화살표 : 자원을 사용하는 경우(할당된 경우)
프로세스에서 자원으로 향하는 화살표 : 프로세스가 자원을 기다리는 경우(대기하는 경우)
- 자원이 2개 이상의 프로세스를 동시에 허용
- 다중 자원(multiple resource)
- 여러 프로세스가 동시에 사용하는 자원
- 수용할 수 있는 프로세스 수를 사각형 안의 작은 동그라미로 표현
식사하는 철학자 문제
- 철학자들은 포크 공유 불가
→ 자원을 공유하지 못하는 교착 상태 발생 - 각 철학자는 다른 철학자의 포크를 빼앗을 수 없음
→ 자원을 빼앗을 수 없으면 자원을 놓을 때까지 기다려야 하므로 교착 상태 발생 - 각 철학자는 왼쪽 포크를 잡은 채 오른쪽 포크를 기다림
→ 자원 하나를 잡은 상태에서 다른 자원을 기다리면 교착 상태 발생 - 자원 할당 그래프가 원형
→ 자원을 요구하는 방향이 원을 이루면 양보하지 x → 교착 상태 발생
교착 상태 필요조건
- 상호 배제
- 한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자원은 다른 프로세스와 공유할 수 없는 배타적인 자원이어야 함
- 배타적인 자원은 임계구역으로 보호되기 때문에 다른 프로세스가 동시에 사용 불가
- 배타적인 자원을 사용하면 교착 상태 발생
- 비선점
- 한 프로세스가 사용 중인 자원은 중간에 다른 프로세스가 빼앗을 수 없는 비선점 자원이어야 함
- 점유와 대기
- 프로세스가 어떤 자원을 할당받은 상태에서 다른 자원을 기다리는 상태여야 함
- 원형 대기
- 점유와 대기를 하는 프로세스 간의 관계가 원을 이루어야 함
교착 상태 해결 방법
교착 상태 해결
- 교착 상태 예방
- 교착 상태를 유발하는 네 가지 조건이 발생하지 않도록 무력화하는 방식
- 상호 배제, 비선점, 점유와 대기, 원형 대기 중 하나라도 막으면 교착 상태 발생 x
- 실효성이 적어 잘 사용되지 않는 방법
- 교착 상태 회피
- 자원 할당량을 조절하여 교착 상태를 해결하는 방식
- 자원을 얼마만큼 할당해야 교착 상태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보장 x → 실효성 적음
- 교착 상태 검출과 회복
- 자원 할당 그래프를 모니터링하면서 교착 상태가 발생하는지 살펴보는 방식
- 교착 상태 발생시 교착 상태 회복 단계가 진행됨
- 교착 상태를 해결하는 현실적인 접근 방법
교착 상태 예방
상호 배제 예방
- 시스템 내에 있는 상호 배타적인 모든 자원(독점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자원)을 없애버리는 방법
- 시스템 내의 모든 자원을 공유할 수 있다면 교착 상태가 발생하지 않음
비선점 예방
- 모든 자원을 빼앗을 수 있도록 만드는 방법
- 어떤 기준으로 빼앗을지, 빼앗은 시간 중 얼마나 사용할지 등 결정하기 어렵고 아사 현상을 일으킬 수 있음
점유와 대기 예방
- 프로세스가 자원을 점유한 상태에서 다른 자원을 기다리지 못하게 하는 방법
- 전부 할당하거나 아예 할당하지 않는 방식을 적용하는 것
- 단점
- 프로세스가 자신이 사용하는 모든 자원을 자세히 알기 어려움
- 자원의 활용성 떨어짐
- 많은 자원을 사용하는 프로세스가 적은 자원을 사용하는 프로세스보다 불리
- 결국 일괄 작업 방식으로 동작
원형 대기 예방
- 점유와 대기를 하는 프로세스들이 원형을 이루지 못하도록 막는 방법
- 프로세스들이 한줄로 늘어선다면 그 줄의 맨 끝에서부터 문제가 해결됨
- 단점
- 프로세스 작업 진행에 유연성이 떨어짐
- 자원에 번호를 어떻게 부여할지가 문제
교착 상태 회피
교착 상태 회피의 개념
- 프로세스에 자원을 할당할 때 어느 수준 이상의 자원을 나누어주면 교착 상태가 발생하는지 파악하여 그 수준 이하로 자원을 나누어주는 방법
- 할당되는 자원의 수를 기준으로 시스템을 안정 상태(safe state)와 불안정 상태(unsafe state)로 나누고 시스템이 안정 상태를 유지하도록 자원을 할당
은행원 알고리즘
- 에츠허르 데이크스트라가 제안
- 은행이 대출해주는 방식
- 대출 금액이 가능한 범위 내(안정상태) → 대출 허용
- 그렇지 않으면 거부
- 은행원 알고리즘의 변수
변수 | 설명 |
전체 자원(Total) | 시스템 내 전체 자원의 수 |
가용 자원(Available) | 시스템 내 현재 사용할 수 있는 자원의 수 가용 자원 = 전체 자원 - 모든 프로세스의 할당 자원 |
최대 자원(Max) | 각 프로세스가 선언한 최대 자원의 수 |
할당 자원(Application) | 각 프로세스에 현재 할당된 자원의 수 |
기대 자원(Expect) | 각 프로세스가 앞으로 사용할 자원의 수 기대 자원 = 최대 자원 - 할당 자원 |
- 각 프로세스의 기대 자원과 비교하여 가용 자원이 하나라도 크거나 같으면 자원 할당
- 가용 자원이 기대 자원보다 크다는 것
= 그 자원을 사용하여 작업을 끝낼 수 있는 프로세스가 있다는 의미 → 안정 상태 - 가용 자원이 어떤 기대 자원보다도 크지 않으면 자원 할당 x
= 가용 자원을 사용하여 작업을 마칠 수 있는 프로세스가 없다는 의미 → 불안정 상태
안정 상태
각 프로세스의 기대 자원과 비교하여 가용 자원이 크거나 같은 경우가 한 번 이상인 경우
[6-17]
- 가용 자원: 최대 자원 수(14) - 할당된 자원 수(2 + 4 + 6 = 12) = 2
- 기대 자원: 최대 자원 수 (5, 6, 10) - 현재 할당된 자원의 수(2, 4, 6) = 3, 2, 4
- P2가 필요로 하는 자원 수(2)와 가용 자원(2)가 같으므로 안정자원이다.
- 2를 P2에 할당시켜 실행하고 반환하면(6) 전체 작업 무사 완료 가능
[6-18]
- 가용 자원: 최대 자원 수(14) - 할당된 자원(3 + 4 + 6 = 13) = 1
- 기대 자원: 최대 자원 수(7, 6, 10) - 현재 할당된 자원 수(3, 4, 6) = 4, 2, 4
- 1과 같거나 큰 기대 자원이 없으므로 어떠한 프로세스에도 주지 못하는 불안정 자원이다.
- 문제점(원칙 : 교착 상태가 발생하지 않을 수준까지만 자원을 나누어주는 것)
- 프로세스가 자신이 사용할 모든 자원을 미리 선언해야 함
- 시스템의 전체 자원 수가 고정적이어야 함
- 자원이 낭비됨
교착 상태 검출
타임아웃
- 일정 시간 동안 작업이 진행되지 않은 프로세스를 교착 상태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여 처리하는 방법
- 교착 상태가 자주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는 가정하에 사용하는 방법
- 가벼운 교착 상태 검출이라 부름
- 문제점
- 엉뚱한 프로세스가 강제 종료될 수 있음
- 교착 상태 외 다른 이유로 작업이 진행되지 못하는 모든 프로세스가 강제 종료될 수 있음
- 모든 시스템에 적용할 수 없음
- 분산 데이터베이스와 같이 데이터가 여러 시스템에 나뉘어 있으면 타임아웃 방법 적용 불가
- 엉뚱한 프로세스가 강제 종료될 수 있음
- 데이터베이스의 교착 상태 처리는 운영체제보다 복잡하다
- 데이터베이스에서는 데이터의 일관성이 깨지면 안된다 → 데이터를 조작할 때 반드시 잠금을 얻은 후 작업을 시작해야 함
- 여러 개의 잠금을 얻어 작업하던 중 타임아웃으로 프로세스가 종료되면 일부 데이터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
- 체크포인트(check point)와 롤백(roll back)을 사용
- 체크포인트
- 작업을 하다가 문제가 발생하면 저장된 상태로 되돌아오기 위한 표시
- 현재 시스템 상태가 하드디스크에 저장된다.(스냅숏(snap shot))
- 롤백: 작업을 하다가 문제가 발생하여 과거의 체크포인트로 되돌아가는 것
자원 할당 그래프를 이용한 교착 상태 검출
- 자원 할당 그래프를 보면 시스템 내의 프로세스가 어떤 자원을 사용하고 있는지 혹은 기다리고 있는지를 알 수 있음
(a) 교착 상태가 없는 자원 할당 그래프
- 프로세스 P1은 프로세스 P2가 자원 R2를 다 사용하고 반환하기를 기다림
- 프로세스 P4는 프로세스 P1의 자원 반환을, 프로세스 P3은 프로세스 P4의 자원 반환을 기다리고 있음
- 이 자원 할당 그래프에는 사이클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프로세스 P2가 작업을 마치고 자원 R2를 반환하면 나머지 프로세스의 작업이 계속 진행되어 결국 교착 상태가 발생하지 않음
(b) 교착 상태가 있는 자원 할당 그래프
- 운영체제는 자원을 요청하거나 할당할 때마다 자원 할당 그래프를 갱신
- 이때 사이클이 발생하면 교착 상태가 검출된 것으로 판단
- 프로세스 P2가 추가로 자원 R3를 요구하는 경우, P1 → P2 → P4 → P1로 이어지는 사이클이 존재하기 때문에 운영체제는 교착 상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
자원 할당 그래프 장단점
- 장점: 프로세스의 작업 방식을 제한하지 않으면서 교착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음
- 단점: 자원 할당 그래프를 유지, 갱신, 사이클 검사 등 추가 작업으로 인해 오버헤드 발생
→ 추가 작업 줄이기 위해 자원이 할당될 때마다 사이클 검사를 하는 것이 아닌 일정시간마다 하는 방법도 존재
교착 상태 회복
- 교착 상태가 검출되면 교착 상태를 푸는 후속 작업을 하는데 이를 교착 상태 회복이라 함
- 교착 상태 회복 단계에서는 교착 상태를 유발한 프로세스를 강제 종료
프로세스 강제 종료 방법
- 교착 상태를 일으킨 모든 프로세스를 동시 종료
- 종료된 프로세스들이 동시에 작업을 다시 시작하면 다시 교착 상태를 일으킬 가능성이 큼
- 모든 프로세스를 강제로 종료한 후 다시 실행할 때는 순차적으로 실행해야 함
- 이때 어떤 프로세스를 먼저 실행할 것인지 기준을 정해야 함
- 교착 상태를 일으킨 프로세스 중 하나를 골라 순서대로 종료
- 교착 상태를 일으킨 프로세스 중 하나를 골라 순서대로 종료하면서 나머지 프로세스의 상태를 파악하는 방법
- 프로세스 종료 순서를 정할 때는 다음과 같은 기준 필요
1) 우선순위가 낮은 프로세스 먼저
2) 우선순위가 같으면 작업 시간이 짧은 프로세스 먼저
3) 위의 두 조건이 같으면 자원을 많이 사용하는 프로세스 먼저
반응형
'OS > 쉽게 배우는 운영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쉽게 배우는 운영체제] 8. 가상 메모리의 기초 (0) | 2024.04.05 |
---|---|
[쉽게 배우는 운영체제] 7. 물리 메모리 관리 (1) | 2024.04.03 |
[쉽게 배우는 운영체제] 5. 프로세스 동기화 (0) | 2024.03.20 |
[쉽게 배우는 운영체제] 4. CPU 스케줄링 (6) | 2024.03.11 |
[쉽게 배우는 운영체제] 3. 프로세스와 스레드 (0) | 2024.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