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TIL-51/240327] 그래프 비용(서로소 집합, MST, 크루스칼)

prao 2024. 3. 28. 08:44
반응형

서로소 집합(Disjoint-sets)

상호 배타 집합

  • 중복 포함된 원소가 없는 집합 → 교집합이 없음
  • 각 집합은 대표자를 통해 구분

 

상호 배타 집합 표현 방법

  • 연결 리스트
  • 트리
    • 연결리스트
    • 배열

상호 배타 집합 연산

  • Make-Set(x) : 단위집합을 만드는 연산 (초기화 함수)
  • Find-Set(x) : 어떤 한 element가 주어졌을 때, 그 element의 대표자를 구하는 연산
  • Union(x, y) : 두 구성요소가 주어지고, 그 두 구성요소의 각 상호배타 집합을 합치는 연산

Make-Set / Union / Find-Set 연산

 

 

 

상호 배타 집합 표현 - 연결리스트

  • 같은 집합의 원소들은 하나의 연결리스트로 관리
  • 연결리스트의 맨 앞의 원소를 집합의 대표자로 결정
  • 각 원소는 집합의 대표원소를 가리키는 링크를 갖는다.

  1. 대표자 노드는 항상 head에 위치
  2. 추가되는 노드들은 tail에 추가
  3. 대표자 노드가 아닌 값은 모두 대표자 값에 링크를 한개씩 두어서 대표자 노드를 가리킬 수 있게 함
class Node {
    int data;
    Node next;
    Node linkToRep;
}

https://jiwoochoi.tistory.com/212

 

Disjoint-set & Union-Find : 유니온 파인드

Union-Find 서로소, 상호배타 집합이란 서로 중복 표현된 원소가 없는 집합을 의미합니다. 이런 집합을 표현하기 위해서 "대표자" 라는 개념이 도입되는데, 이 대표자를 기준으로 각 집합을 구분할

jiwoochoi.tistory.com

 

상호 배타 집합 표현 - 트리

Make-Set(x) { # 노드 x를 유일한 원소로 하는 집합을 만든다.  
	p[x] ← x; 
} 

Union(x, y) { # 노드 x가 속한 집합과 노드 y가 속한 집합을 합친다 
	p[Find-Set(y)] ← Find-Set(x); 
} 

Find-Set(x) { # 노드 x가 속한 집합을 알아낸다. 노드 x가 속한 트리의 루트 노드를 리턴한다. 
	if (x  = p[x]) : return x; 
	else           : return Find-Set(p[x]); 
}

 

상호 배타 집합 연산의 효율을 높이는 방법

https://velog.io/@hanni66/%EC%95%8C%EA%B3%A0%EB%A6%AC%EC%A6%98-%EC%A7%91%ED%95%A9%EC%9D%98%EC%B2%98%EB%A6%AC

 

알고리즘 : 집합의 처리

상호배타적 집합(disijiont set)만을 대상으로 한다. 즉 교집합 연산은 다루지 않는다.Mask-Set(x) : 원소 x로만 이루어진 집합을 생성한다.Find-Set(x) : 원소 x가 속한 집합을 알아낸다.Union(x, y) : 원소 x가

velog.io

Rank를 이용한 Union

  • 각 노드는 자신을 루트로 하는 subtree의 높이를 랭크(rank)라는 이름으로 저장
  • 두 집합을 Union할 때 rank가 낮은 집합을 높은 집합에 붙임

랭크가 변하지 않는 예시

랭크가 변하는 예시

 

Path Compression

  • Find-Set을 행하는 과정에서 만나는 모든 노드들이 직접 대표를 가리키도록 수정

  • d,f는 아직 호출되지 않았기에 e 밑에 존재, 호출되면  c 밑으로 경로 압축

 

Make-Set() 연산

  • 유일한 멤버 x를 포함하는 새로운 집합을 생성하는 연산
  • 반복문을 이용하여 간소화
p[x] : 노드 x의 부모 저장
rank[x] : 루트 노드가 x인 트리의 랭크 값 저장

Make-Set(x)
    p[x] ← x
    rank[x] ← 0

 

Find-Set() 연산

  • Find-Set(x) : x를 포함하는 집합을 찾는 연산
  • 특정 노드에서 루트 노드까지의 경로를 찾아 가면서 노드 부모의 정보를 갱신
Find-Set(x)
    IF x != p[x] :           // x가 루트가 아닌 경우
        p[x] ← Find-Set(p[x])
    RETURN p[x]

 

Union 연산

  • Union(x,y) : x와 y를 포함한느 두 집합을 합하는 연산
Union(x, y) // x, y는 대표자, rank는 트리의 높이
    IF rank[x] > rank[y] : // x의 랭크가 높으면 x 밑으로 y가 들어간다 
        p[y] ← x
    ELSE // 그 외에는 y의 밑으로 x가 들어간다
        p[x] ← y
        IF rank[x] == rank[y] : // 둘이 똑같다면 rank[y]의 높이를 1 증가시킨다
            rank[y]++

 

MST(최소 비용 신장 트리; Minimum Spanning Tree)

신장 트리

  • 그래프의 모든 정점과 간선의 부분 집합으로 구성되는 트리

 

최소 신장 트리

  • 신장 트리 중에서 사용된 간선들의 가중치 합이 최소인 트리
  • 무방향 가중치 그래프
  • N개의 정점을 가지는 그래프에 대해 반드시 (N-1)개의 간선을 사용
  • 사이클을 포함 X

사용하는 이유

  • 도로망, 통신망, 유통망 등등 여러 분야에서 비용을 최소로 해야 이익을 볼 수 있다.
  • 대표적인 알고리즘으로 크루스칼, 프림이 있음(그리디 알고리즘 중 하나)

 

크루스칼 알고리즘(KRUSKAL)

동작 과정

  1. 최초 모든 간선을 가중치에 따라 오름차순으로 정렬
  2. 가중치가 가장 낮은 간선부터 선택하면서 트리를 증가시킴
    → 사이클이 존재하면 다음으로 가중치가 낮은 간선 선택
  3. N - 1개의 간선이 선택될 때까지 2번 과정 반복

 

1) 그래프 간선을 가중치 오름차순 정렬

2) a - b부터 선택

3) a - d 선택

4) b - d를 선택하면 a - b - d 사이클이 형성되므로 선택 x

5) b - c 선택. 선택된 간선의 갯수가 정점의 갯수 - 1이 되면 종료

 

사이클 판단하기 - Union & Find 활용

https://chanhuiseok.github.io/posts/algo-33/

 

알고리즘 - 크루스칼 알고리즘(Kruskal Algorithm), 최소 신장 트리(MST)

##

chanhuiseok.github.io

 

크루스칼 알고리즘 의사코드

MST - KRUSKAL(G)
    A ← 0 // 0 : 공집합
    FOR v  in G.V // G.V : 그래프의 정점 집합
        Make-Set(v)
        
    G.E에 포함된 간선들의 가중치 w에 의해 정렬 // G.E : 그래프의 간선 집합
    
    FOR 가중치가 가장 낮은 간선 (u, v) ∈ G.E 선택(n-1개)
        IF Find-Set(u) != Find-Set(v)
            A ← A ∪ {(u, v)}
            Union(u, v);
    
    RETURN A

 

 

반응형